괄호 추가하기
시간 제한 | 메모리 제한 | 제출 | 정답 | 맞은 사람 | 정답 비율 |
---|---|---|---|---|---|
0.5 초 (추가 시간 없음) | 512 MB | 6147 | 2228 | 1544 | 34.689% |
문제
길이가 N인 수식이 있다. 수식은 0보다 크거나 같고, 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와 연산자(+, -, ×)로 이루어져 있다. 연산자 우선순위는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, 수식을 계산할 때는 왼쪽에서부터 순서대로 계산해야 한다. 예를 들어, 3+8×7-9×2의 결과는 136이다.
수식에 괄호를 추가하면, 괄호 안에 들어있는 식은 먼저 계산해야 한다. 단, 괄호 안에는 연산자가 하나만 들어 있어야 한다. 예를 들어, 3+8×7-9×2에 괄호를 3+(8×7)-(9×2)와 같이 추가했으면, 식의 결과는 41이 된다. 하지만, 중첩된 괄호는 사용할 수 없다. 즉, 3+((8×7)-9)×2, 3+((8×7)-(9×2))은 모두 괄호 안에 괄호가 있기 때문에, 올바른 식이 아니다.
수식이 주어졌을 때, 괄호를 적절히 추가해 만들 수 있는 식의 결과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추가하는 괄호 개수의 제한은 없으며,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.
입력
첫째 줄에 수식의 길이 N(1 ≤ N ≤ 19)가 주어진다. 둘째 줄에는 수식이 주어진다. 수식에 포함된 정수는 모두 0보다 크거나 같고, 9보다 작거나 같다. 문자열은 정수로 시작하고, 연산자와 정수가 번갈아가면서 나온다. 연산자는 +, -, * 중 하나이다. 여기서 *는 곱하기 연산을 나타내는 × 연산이다. 항상 올바른 수식만 주어지기 때문에, N은 홀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괄호를 적절히 추가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의 최댓값을 출력한다. 정답은 231보다 작고, -231보다 크다.
예제 입력 1 복사
xxxxxxxxxx
9
3+8*7-9*2
예제 출력 1 복사
xxxxxxxxxx
136
예제 입력 2 복사
xxxxxxxxxx
5
8*3+5
예제 출력 2 복사
xxxxxxxxxx
64
예제 입력 3 복사
xxxxxxxxxx
7
8*3+5+2
예제 출력 3 복사
xxxxxxxxxx
66
예제 입력 4 복사
xxxxxxxxxx
19
1*2+3*4*5-6*7*8*9*0
예제 출력 4 복사
xxxxxxxxxx
0
예제 입력 5 복사
xxxxxxxxxx
19
1*2+3*4*5-6*7*8*9*9
예제 출력 5 복사
xxxxxxxxxx
426384
예제 입력 6 복사
xxxxxxxxxx
19
1-9-1-9-1-9-1-9-1-9
예제 출력 6 복사
xxxxxxxxxx
24
풀이
dfs를 사용
숫자와 연산자를 리스트에 따로 담는다.
xxxxxxxxxx
for(int i=0; i<n; i++) {
if(i%2==0) {
num.add(t.charAt(i)-'0');
}
else {
op.add(t.charAt(i));
}
}
규칙이 있다.
숫자 연산자 숫자 연산자 숫자
이렇게해서 나온다.
즉 인덱스가 홀수 일 땐 연산자
짝수 일 땐 숫자가 들어온다.
전체코드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static int n;
static int max = Integer.MIN_VALUE;
static ArrayList<Integer>num = new ArrayList<>();
static ArrayList<Character> op = new ArrayList<>()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String t = br.readLine();
for(int i=0; i<n; i++) {
if(i%2==0) {
num.add(t.charAt(i)-'0');
}
else {
op.add(t.charAt(i));
}
}
int start = num.get(0);
dfs(0,start);
System.out.println(max);
}
public static void dfs(int now, int sum) {
if(now>=op.size()) {
max = Math.max(max, sum);
return;
}
// 1. 괄호 안치고 진행하기
int one = cal(now, sum, num.get(now+1));
dfs(now+1, one);
// 2. 괄호 치고 진행하기
if(now+1 < op.size()) { // 인덱스 범위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
int two = cal (now+1, num.get(now+1), num.get(now+2));
int result = cal (now, sum, two);
dfs(now+2, result);
}
}
public static int cal(int op_idx,int a, int b) {
switch(op.get(op_idx)) {
case '+':
return a+b;
case '-':
return a-b;
case '*':
return a*b;
}
return 1;
}
}
후기
이 문제 푸려고 여러가지 접근 해봤었다.
n = 9 이니
dfs에서 for(int i=now; i<n; i++)
이런식으로 접근했었는데
그럴 필요가 없이 그냥 연산자의 인덱스 기준으로 하면 된다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1922] 네트워크연결 -JAVA //le_effort (0) | 2020.06.05 |
---|---|
[백준 1753] 최단경로 -JAVA //le_effort (2) | 2020.06.01 |
[백준 16932] 모양만들기 -JAVA (0) | 2020.05.28 |
[백준 17143 낚시왕] -JAVA //le_effort (0) | 2020.05.13 |
[백준] 18809 Gaaaaaaaaaarden -JAVA // le_effort (0) | 2020.05.12 |